본문 바로가기

김장생

원촌동 숭현서원 춘기제향, 유림의 명맥을 잇다 5월5일 토요일 오전11시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촌동에 위치한 숭현서원에서 관내 유림들과 지역주민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숭현서원 춘기제향’이 봉행이 되었습니다. 숭현서원은 매년 음력 3월과 9월에 중정일을 정하여 제향을 지내고 있습니다. 숭현서원은 1585년(선조18) 수부 정광필, 충암 김정, 규암 송인수 세 분을 모시기 위해 용두록에 세워 삼현서원이로 하였습니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불타서 없어졌으나, 1592년 나라에서 인정한 사액서원으로 ‘숭현’이란 이름을 받은 서원입니다. 그 이후에 사계 김장생, 죽창 이시직, 야은 송시영, 동춘당 송준길, 우암 송시열 선생을 추가로 모시면서 팔현묘라고도 불러졌습니다. 1871년(고종8) 홍성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철거되어 묘정비만 남아 있다가 19..
대덕구 회덕향교 ‘동방 18현을 탐하다' 강좌 11월까지 운영 '향교'란 전통시대 지방의 관립학교를 일컫는 명칭입니다. 우리나라의 역사에서 지방학교의 연원은 멀리 고구려 시대의 '경당'까지 소듭될 수 있으나, '향교'는 고려시대에서 비롯되었고 조선시대에 이르러 일반화되었습니다. 조선사회는 유교이념을 치국의 원리로 삼는 유교중심의 국가였는데요. 조선왕조는 국초부터 이러한 유교이념을 가르치는 기초적 교육기관으로서 향교의 설립과 운영을 매우 중시했습니다. 전국의 330여개의 군·현에 향교가 설치된 까닭입니다. 향교에 대해 깊게 탐구할 수 있는 강의가 마련됐다고 하여 찾아가봤습니다. 동방 18현을 탐하다 회덕향교 주관 '동방 18현을 탐하다' 강의가 3월 17일부터 11월 8일까지 회덕향교 명륜당에서 열립니다. 이번 강의는 2018년 살아 숨 쉬는 향교 ·서원 활용사업 일..
[대전소식] 한밭도서관, 사계․신독재와 대전 문인 금석문 탁본전 "한밭도서관, 사계․신독재와 대전 문인 금석문 탁본전" 한밭도서관은 내달 1일부터 10일까지 본관 1층 전시실에서 한남대학교 충청학연구소의 협조로‘사계 ‧ 신독재와 대전 문인 금석문 탁본전’을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전시회는 제10회 호서명현 학술대회“호서사림의 형성과 대전”의 연계로 열리는 것이며 사계 김장생 ․ 신독재 김집 ․ 우암 송시열의 신도비, 송준길 ․ 이유태 ․ 김경여 등의 묘비 외에 서원비, 유허비 등 탁본 22점이 전시됩니다. 전시되는 탁본 작품은 호서사림 연구의 기초자료이며 모두 비석에 기록한 석문(石文)을 탁본한 것으로 비문의 찬자(撰者:글을 지은 사람)와 서자(書者:글씨를 쓴 사람)를 통해 김장생 ․ 김집의 스승과 제자 관계 및 친분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한밭도서관 관계자는..
사립학교였던 숭현서원지에 다녀왔어요. 대전 유성구 원촌동에 위치한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 27호인 숭현서원에 다녀왔어요. 삼현서원 혹은 팔현묘라 불리웠던 숭현서원은 회덕의 명현인 수부 정광필, 충암 김정, 규암 송인수, 사계 김장생, 죽창 이시직, 야은 송시영, 동춘당 송준길 그리고 우암 송시열을 배향한 사액서원입니다. 선조조에 정광필, 김정, 송인수 등 삼현을 향사하기 위해 용두록에 지은 삼현서원이 임진왜란으로 인해 불타버리자 광해군 원년에 송담 송남수를 중심으로 회덕지방 유생들이 현 위치에 중건하고, 그해 유생들이 나라에 상소하여 숭현이란 이름을 받았습니다. 이후 김장생, 이시직, 송시영, 송준길, 그리고 송시열 등 오현을 더 배향한 숭현서원은 고종 8년(1871)에 단행된 서원철폐령에 의해 없어지게 될 때까지 회덕향교와 더불어 우리 지역..
대전광산김씨 [서포종친회] 서포 김만중선생의 대전광산김씨 [서포종친회] 서포 김만중선생의 유배지 남해노도를 다녀오다 2010.10.7 광산김씨의 대학자이신 사계 김장생선생님과 병자호란시 나라의 굴욕에 분신하셨던 충정공'김익겸'선생님의 둘째 아드님이신 서포 김만중 선생님의 자손들로 이루어진 [서포종친회]에서 해마다 유배가셨다가 돌아가신 남해의 노도로 다녀오곤했는데 이번에 참석을 하게 되었다 자손된 도리로써 이제서야 12대조부님의 행적을 찾아나서다니 ... 국어교과서에서 접하고 많은 국문학도들의 연구가 되는 작품들 (구운몽,사씨남정기,서포만필 등...) 어머님에 대한 효도가 지극했고 훗날 '문효공'이라는 시호를 받으신 분 여러가지 수식어가 있어도 과연 어떤 말로 표현이 가능할지는 현대를 사는 우리에겐 부족하지 않나 싶다 아침부터 저녁 늦은 시간까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