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전여행/역사유적

독립운동 100주년 대전의 독립운동가 단재 신채호의 흔적을 찾아서

충청남도 대덕군 산내에서 출생했고, 충청북도 청원에서 성장한 단재 신채호. 지금 그 생가지가 복원되어 있어서 그 흔적을 돌아볼 수 있습니다. 단재는 민족주의 역사학의 틀을 만든 사람으로, 우리 민족에 대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게 우리의 역사를 많이 정립하기도 했죠.


지금은 행정구역상 동구에 속한 곳이지만 이 지역은 원래 대덕군으로 지역이 구분이 되어 있었습니다.



단재는 1880년 대전 중구 어남동에서 태어나 구한말 독립협회에서 활동했으며,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에 논설을 쓰며 친일파의 매국 행위를 비판했는데요. 단재는 대전을 대표하는 독립운동가이며 대전의 자부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단재는 10여 세에 '통감(通鑑)'과 사서삼경을 읽고 시문에 뛰어났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이곳 생가지는 단재가 태어나서 8살까지 살던 곳입니다.  


단재는 26세 되던 1905년 2월 성균관 박사가 되었으나, 관직에 나아갈 뜻을 버리고 장지연(張志淵)의 초청으로 '황성신문(皇城新聞)'의 기자가 되어 논설을 쓰며 활발하게 활동했습니다.



단재 신채호 선생의 역사관을 둘러보면 부여와 고구려 중심의 역사인식에 따라 신라의 삼국통일을 부정적으로 과소평가한 것이나 단군·부여·고구려 중심으로 상고사를 체계화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역사를 주제로 사론(史論)을 써서 민족의식을 고취하면서 다양한 잡지를 발행했던 단재. 그의 글에서 이미 단군·부여·고구려 중심의 주체적인 민족주의 사관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1919년 당시 활동하던 민족주의자나 독립운동가들은 사람들의 생각을 알 수가 없었습니다. 어떤 조직을 만들던가 운동을 꾀함에 있어서 사람들의 진의를 알아야 했습니다. 그런데 때마침 그 시대에 3·1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나면서 사람들이 원하는 것이 '독립'이라는 것이 알게 된 것이죠.


신채호는 봉건 유생에서 자강 운동가로, 자강 운동가에서 민족주의자로, 다시 민족주의자에서 아나키스트로 전환됐습니다. 변화하는 시대적 상황에서, 그 시대적 사명을 다하는 과정에서 사상적 전환을 한 것을 보면 유연한 생각의 소유자였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말의 애국계몽운동과 일제 하 국권회복운동에 헌신하면서 한국사 연구를 통한 민족운동에 앞장섰던 단재 신채호.

그가 역사를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으로 파악했다는 것이 조금 독특합니다.  자유로운 인간의 삶을 추구하였으며, 감옥에 있으면서도 아나키스트로서의 삶을 영위하였던 신채호의 흔적이 이곳에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