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네 명의 멘토들과 함께 시간을 보낸 '아무일 청춘다락 프로젝트' 멤버들. 지역에서 청년공간이 어떻게 활용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해 멘토들의 이야기를 듣고, 멤버들끼리 충분히 논의하기도 하였는데요. 청춘다락 안에서 '어떤 일'이라도 해보자고 시작한 프로젝트의 실제 '어떤 일'의 기획을 구체화 하고 본격적인 활동과 홍보를 시작했습니다.
▲'청춘다락 미리보기' 기획회의
'청춘다락 미리보기'라는 행사의 제목은 정해진 상태. 행사 프로그램의 기획은, 중동 마을에 들어설 청년 공간인 '청춘다락'이 동네 주민과 또 공간에 관심있을 청년들을 포함한 대전 시민들에게 좀 더 쉽게 다가설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며 진행되었습니다.
본래 이곳에 살고 있던 주민들에게는 금요일마다 조용한 동네를 시끌벅적하게 만드는 청년들의 생동감이 신기하게 비춰지나 봅니다. 지도를 만들기 위해 마을탐색을 할 때도, 청춘다락 프리뷰 영상을 만들기 위해 마을 골목을 누빌 때도, 동네 어르신들은 호기심 어린 눈으로 청년들을 바라보았습니다.
갑작스레 등장한 이방인을 대하는 느낌으로 여겨지던 마을 주민들에게 '청년'이란 존재가 친근해지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느껴졌는데요. 그 것 역시 '청춘다락'이 만들어 나가야 할 과제인거죠.
▲'청춘다락 미리보기' 기획회의
기획한 행사 프로그램은 상설진행되는 파트를 제외하면 크게 1부와 2부로 나뉘어 집니다. 1부는 준비된 청춘간식을 먹으며 중동로컬지도를 가지고 청춘다락 주변 중동마을을 탐색하는 시간으로 진행되구요. 추가로 청춘발언대 '아무말대잔치'라는 프로그램이 더해졌습니다.
▲ 청춘발언대 '아무말대잔치'
당일 행사날 참여할 청춘들에게 미리 사연을 받아보는 식으로 진행될 건데요. 청춘발언대 사연 담당자 카톡아이디 (GOVL726) 으로 사연 보내주시면 됩니다. 꾹꾹 눌러 담고 못했던 말들을 할 수 있는 자리, 어떤 말들이 오가는 대나무숲이 될지 벌써부터 기대됩니다. 다양한 사연 많이 신청하시고, 행사날 청춘발언대에 올라보세요!
▲'청춘다락 미리보기' 기획회의
2부는 공연행사로 기획되었어요. 마지막으로 만난 청춘다락의 멘토 박석신 작가를 초대하여 '당신의 이름이 꽃'이라는 드로잉 퍼포먼스가 이뤄질 예정이구요. 이번 아무일 청춘다락 프로젝트의 멤버인 지역 청년 뮤지션, 카마르그의 공연이 행사 마지막을 장식하게 됩니다. 오래된 마을인만큼, 그런 옛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음악으로 선곡하여 공연을 기획하였다는 카마르그 멤버의 이야기를 듣고 조금은 두근거리던 마음.
상설 진행되는 프로그램은, 멤버들이 직접 찍은 중동마을을 담은 사진으로 기획된 '소소한 사진전.' 그리고 청춘다락을 알리는 프리뷰 영상 상영인데요. 지금껏 프로젝트를 함께 해온 청년들의 소개와 중동의 이야기가 잘 버무러져 아기자기하게 행사를 장식하게 될 것 같아요. 사진도, 영상도 멤버들이 직접 찍고, 제작한 정성이 담겨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는 거!
▲'청춘다락 미리보기' 기획회의
중동에 한 번이라도 와보신 분들, 그거 아세요? 청춘다락을 기점으로 중동의 골목이 알아보기 쉽고 확연하게 동·서·남·북으로 나눠진다는 것 말이죠. 너무도 정직하게 나뉘어져 있는 중동의 골목을 거닐며 신기한 마음 가득!
마을지도팀의 최종 컨셉은 '청춘다락 동서남북'인데요. 주최측이 동서남북 각각의 골목에 특징을 지니고 있는 곳을 정하고 그곳에 청춘다락 배너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행사 날 참여하시는 분들은 각자의 관심과 취향에 맞는 쪽의 거리를 탐색하고 청춘다락 배너 앞에서 사진을 찍어 오면 '간식박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됩니다. '간식박스' 제공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청년들이 직접 만든 '채식주의 음식 나눔'을 실천하는 기회가 될텐데요. 신선하고 건강한 재료로 만든 청춘간식, 기대되지 않으세요?
▲'청춘다락 미리보기' 최종포스터
지역 청년들이 준비하고 함께할 청춘다락 미리보기에 놀러오셔서 소소하고 재미난 체험과 공연과 전시· 상영 즐겨보세요! 꼭 오실거죠?
▲ 행사명: <청춘다락 미리보기>
▲ 일시: 2017.04.22(토) 오후 2시-4시
▲ 장소: 옛 중앙동 주민센터(청춘다락) 마당 (구주소: 대전 동구 중동 32-26 / 동구 선화로 196번길 48 보훈회관)
*이 기사는 대전광역시 사회적자본지원센터와의 협력을 통해 작성된 기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