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전문화

[대전문화] 제 7회 분청사기전

  

                                       


                                               분청사기란 이름은 1940년경
                            미술사학자이자 미학자였던  고유섭선생이 ‘분장회청사기’라고
                                               이름을 붙인데서 비롯하였다.

                     분청사기는 이 분장회청사기의 약칭으로 태토위에 백토(장석의 돌가루)로

                                      만든 유약으로 분장하여 만들어진 그릇이다.

                                               분청사기가 만들어진 시기는
                              고려 말의 정치 ,경제, 사회, 국방, 외교가 혼란해지자
                              강진을 중심으로 한 도자공예는 그 정형을 잃어 갔고, 
                              국가의 배려와 보호를 받지 못한 기술자들은 전국으로
                                              자신들의 살 길을  찾아 흩어진다.
                                       이러한 도공들은 정형화된 상감청자의
                                           양식상의 퇴화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들의 소규모 가마에서 분청사기를 만들기 시작한다.                               

                                         

                                                        초기분청사기가 태동하던
                                           1360~1420년경이 불안한 사회상 속에서
                                          조선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기 시작했다면
                                        중기는 1420~1480년경으로 분청사기의
                                     다양한 기법으로 꽃을 피우던 시기라고 볼 수 있겠다.


                                                                 이 시기는 조선왕조 중
                                                 민족문화가 융성하게 번창시키고 완성시킨
                                                          세종대왕이 치세를 하던 시기이다.
                                                                 이때의 도자공예에서는
                                              분청사기가 다양한 기법과 다양한 발전을 보여
                                                     상감, 인화, 박지, 음각 등의 양상을 보인다.

                                               

                                                                        후기분청사기는
                                           1480~1540년경으로 점차 쇠퇴기로 접어드는 시기이다.
                                                          상감과 인화 기법은  쇠퇴해 가며
                                           계룡산 기슭 학봉리 일대에서 제작된 철화 기법과 같은
                                                    개성이 강한 지방양식으로 발전해 간다.
                                                    이 시기에는 서서히 귀얄 기법이 사라지며
                                                         서서히 백자의 모습이 보이기 시작한다.


                                       올해로써 7회째 분청사기전을 열고 있는 도예작가  윤정훈선생
                                         전시회에 오신분께 분청사기에 대하여 설명하고  계신다.
                                       
                                         
                                              함께 전시회를 열고 있는 정순자 선생의 작품설명.


                                          

 

                                   말기는 1540~1600년경으로 그 후 조선의 분청사기는
                               왜란으로 인한 도공과 가마의 상실, 시대적 변화를 거치며
                               자연 발생했던 것처럼 백자에 일부 흡수 되면서 소멸되고 만다.
                                      또한 ‘도자기 전쟁’이라고 불리워지는 임진왜란을 통해
                                           수 많은 조선의 도공들은 일본으로 끌고 갔고
                                            찻사발과 많은 도자기를 약탈해 갔다.
                                                   이때 끌려간 조선의 도공들과 

             가져갔던  도자기는일본의 도자기산업을일으키게되었다.                                                                

                                    철화기법은 백토를 분장한 후 철분이 많이 포함된
                                  안료(물감)을 사용하여 붓으로 문양을 그려낸 기법이다. 
                             이때 그려지는 문양은 도식적인 것, 추상적인 것,
                                          회화적인 것, 익살스러운 것 등 다양하여
                                                         서민들의 생활 감정이 잘 표현되어 있다.
                                     이 기법은 주로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전반에 걸쳐
                                    충남 공주반포면의 계룡산 기슭에서 주로 제작되어
                                                     일명 ‘ 계룡산 분청사기’라고도 한다.


                                               영국의 도예가 버나드 리치(1887~1979)는
                                                      미국에 있는 유명한 도자기학교인
                                                    알프레드 도자기학교의 기념 강의에서
                                   “ 현대 도예가 나아갈 길은 조선시대 분청사기가 이미 다했다”
                         고 말했다. 그 만큼  분청사기는 현대적인 감각이 넘치는 도자기인 것이다.
                          우리민족의 정서인 역동성과 해학적 사고를 자연스럽게 표현하고자 했던
                                          분청사기를 통하여 현대도예의 위상을 높이기를 바래본다.
 
                          

                         참고자료 : 「분청사기」-강경숙- , 「알기쉬운 한국도자사 」- 유홍준, 윤용이-)



                                                                      전시 기간 : 2010.12.14~ 18 
                                               전시장소  : 유성문화원

대전시청홈페이지 대전시청공식블로그 대전시 공식트위터